현미 썸네일형 리스트형 [100-44] 벼 100-44 벼 벼(rice)는 곡물의 일종인 쌀이 열리는 한해살이 식물이다. 아시아 대부분과 서아프리카 일대, 남유럽, 미국 및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재배한다. 익은 벼를 나락이라고 한다. 나락의 껍질을 도정기 횟수에 따라 현미와 백미로 나뉜다. 1분도 5분도 7분도는 현미에 속하고 10분도는 백미이다. 쌀눈이 깎여 나간 쌀이다. 우리나라에 도정기가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중반이다. 1970년대 초반까지 우리는 곡식을 빻을 때 절구나 디딜방아를 사용했다. 절구나 디딜방아는 곡식의 껍질만 벗길 수 있다. 도정기가 나오고 백미가 출현 한 것이다. 고려시대 이화주라는 술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화주는 백미 쌀가루로 만든다. 이화주는 이화곡이라는 누룩으로 만든다. 이화곡도 쌀가루로 만든다. 고려시대 때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