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0-100] 누가 범죄자인가? 100-100 누가 범죄자인가? 『서울의 전차』 서울역사박물관 발간 도록을 PART1도 끝내지 못했다. 100일 마지막에 누가 범죄자인가를 논해 보려고 한다. 우리는 대한민국을 만들지 않았다. 우리는 이 땅에서 집성촌으로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서 정있고 평화롭게 수천 년을 잘 살아 왔다. 우리는 정부 공무원이 필요 없었다. 70년대만 생각해봐도 답이 나온다. 필자 집은 대문이 없었다. 만들려다 말았다. 필자 집 앞이 길이다. 많은 사람이 지나다니지는 않았지만 더러 밭에 일하러 가는 분들이 지나 갔다. 우리가 마루에서 무엇인가를 먹고 있는데 사람이 지나가면 밥 먹었는가? 하고 물어본다. 그럼서 한 술 뜨고 가라고 하면 들어와서 물이라도 마시고 간다.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사고?에 대한 영상을 CG라고 주장.. 더보기
[100-99] 서울의 전차? 24. 100- 99 서울의 전차? 24.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보스트위크 사진으로 본 한성 : 한국에서의 보스트위크 사업 : THE WAVE라고 영어로 된 사진들을 보자. 첫 번째 사진을 보자. Erecting a Trolley-Pole 트롤리 폴 세우기로 번역된다. 전봇대 세우는 공사 중이라는 것인가? 왼쪽에 선인지 두 개가 있다. 사람들 보습으로 봐서 전봇대를 세우고 있는 장면으로 보인다. 두 번째 사진은 Building the Smok 그다음 스펠링을 알아 볼 수 없다. 마지막이 ck인 것 같다. 물레방아 만드는 공사 중으로 보인다. 나무 얼기설기 해 놓은 것이 꼭 물레방아 형상이다. 저 멀리 사람들이 많다. 삭막해 보인다. 다음 이미지를 보자. 앞에 철도 레일.. 더보기
[100-98] 서울의 전차? 23. 100-98 서울의 전차? 23.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보스트위크 사진으로 본 한성 : 한국에서의 보스트위크 사업 : 출처 | 한국전력공사 전기발전소. 거야위(巨野渭) - 송도(松都) 간 경편철도(輕便鐵道) 부설(1899) : 거야위가 한강의 포구라고 한다. 인천 송도는 2000년대 이후에 개발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도 개발 되지 않았다. 경편철도는 기관차와 차량이 작고 궤도가 좁은, 규모가 작고 간단한 철도라고 한다. 인천 경전철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거야위 한강 포구 기사는 전기 신문이다. 2013년 4월 26일자 기사이다. 거야위가 한강 어디쯤인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더 알아 봐야 한다. 한성전기회사 본사 사옥 건립(1901). 황실도로 .. 더보기
[100-97] 서울의 전차? 22. 100-97 서울의 전차? 22.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보스트위크 사진으로 본 한성 : 보스트위크의 한성 생활을 보자. 먼저 가족사진이 있다. 부인과 어린 딸과 셋이 찍었다. 부인과 보스트위크가 상당히 나이가 들어 보이는데 딸이 어리다. 김구와 김구 부인과 어린 아들 사진과 흡사하다. 김구와 김구 부인이 중년으로 보이는데 아들이 어렸다. 사진 아래 메모가 있다. FRESNO, CALiFORNIA. MON.DAY-MAY 26/1914 이다. 1914년 5월 26일 월요일 캘리포니아 프레스노 로 보면 될 것 같다. 1914년도 사진이 너무 선명하고 변색이 하나도 되지 않았다. 필자가 1980년대 언제쯤 찍은 사진은 변색 되었다. 100년 전에 찍은 사진이 변색이 되.. 더보기
[100-96] 서울의 전차? 21. 100- 96 서울의 전차? 21.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보스트위크 사진으로 본 한성 : 개항 이후 도성에 외국인 거주가 허용되었다고 한다. 개항은 특정한 항구를 열어 외국 선박의 출입을 허용하고 외국과 통상 관계를 공식화 하는 일이라고 한다. 이 땅은 삼면이 바다이다. 항구는 없었다. 서양인들이 자기들 맘대로 항구를 만들고 개항했다고 하는 것이다. 필자의 추정은 처음에 부산에 신발공장을 만들었다. 배가 드나드니 부산항을 만들었다고 본다. 다음 인천에 방직공장을 만들었다. 인천에 항구를 만든 것이다. 군산항은 김제 평야 등에서 생산한 벼를 가져가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본다. 개항 이후 많은 외국인들이 한성에 정착했다고 한다. 1980년대만 해도 빈민의 눈에는 거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