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일백장. 20

[100-14] 제지 회사 연혁

100-14

 

제지 회사 연혁

 

한국제지연합회 회원 국내업체

 

인쇄용지 생산업체

1. 한국제지

19582: 한국 특수제지공업주식회사 설립

19603: 안양공장 장망식 초지 1호기 신설, 백상지 생산개시

19638: 국내 최초로 백상지 홍콩 수출

196612: 한국제지주식회사 상호변경 했다고 한다.

2. 무림에스피()

19567월 무림제지 설립(현 무림SP)

19581월 창업주 이무일 회장 취임

19599월 국내 최초 백상지 대량 생산 성공(초지 1호기 가동)

19669월 무림제지(현 무림SP), 슈퍼캘린더 설치

19696월 무림제지(현 무림SP), 아트지 생산(코터 1호기 가동)

19741월 대한화학펄프(동해펄프 전신, 현 무림P&P)설립

197512월 동서팔프공업(신무림제지 전신, 현 무림페이퍼) 설립, ‘대림팔프공업으로 상호 변경

무림페이퍼()와 무림P&P는 무림에스피와 같은 회사 같으므로 생략한다.

3. 한솔제지

19651월 새한제지 공업주식회사 설립

19651월 삼성, 새한제지 공업주식회사 인수

설립하고 팔았다는 것인가. 설립하자마자 삼성이 인수 했다는 말인가.?

197912월 업계 최초 제지연구소 설립

1981년 국내 최초 종이생산 100만 톤 돌파

19871월 국내 최초 감열지 개발

1992년 한솔제지 주식회사 사명 변경

4. 홍원제지()

19575월 동양제사주식회사(, 홍원제지주식회사) 설립

19737월 초지기 설치완공(1호기, 백상지 생산개시)

1957년에 설립했는데 공장 설치완공은 197316년 후에 공장을 지었다는 것인가?

 

신문용지 생산업체

1. 대한제지()

19598월 대한제지공업() 설립 및 공장가동 개시

1962년 일산 35톤 규모로 시설확장

1965년 일산 65톤 규모로 시설확장

2. 전주페이퍼

1965년 세한제지 설립

1968년 전주제지로 사명 변경

1992년 한솔제지로 사명 변경

2003년 경실련 선정 바른외국기업상 수상

외국인이 운영하는 기업이라는 것인가?

2008년 주식회사 전주페이퍼로 사명 변경

3. 나투라페이퍼()

19963월 공장가동(온양팔프)

19986월 노스케스코그 공장 피인수(한국 노스케스코그)

 

연혁을 정리하다 보니 제지 업체가 순수 우리 기업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필자는 삼성 이병철 이건희를 보면서 뭔가 기업이 순수 우리나라 사람이 자기 자본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긴 했다.

연혁으로 보면 무림에스피()가 설립년도가 가장 빠르다. 그러나 생산은 1959년이다. 한국제지는 1958년에 설립하여 생산은 1960년 초다. 홍원제지는 1957년에 설립하여 1973년에 초지기 설치 완공하여 백상지 생산을 개시했다. 홍원제지는 1973년으로 봐야 한다. 대한제지는 1959년 설립하고 바로 공장을 가동했다. 그러면 우리나라 종이 생산은 1959년으로 봐야 한다.

우리나라 신문 발행은 1959년 이후가 되던지. 그전에 수입을 했다고 봐야 하는데 종이를 수입해서 신문을 발행했다는 말은 들어 본 적이 없다. 그것도 신문지는 재생용지로 만든다고 한다. 백상지를 재활용해서 신문지를 만들었다고 봐야 한다. 1960년 이후 언제부터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본다.

인쇄업체 공장 가동은 어떤 식으로 했을까 전기일까? 발동일일까? 한지공장은 초창기 100

% 수작업으로 하다가 발동기로 했고 다음에 경운기 대가리로 했다고 한다. 다음 전기로 발전했다고 한다. 전기 생산 전의 공장 가동은 발동기일 가능성이 높다. 1954년 이후 교과서 발행도 발동기로 인쇄기를 돌렸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전기 생산은 1969년 이후로 보기 때문이다.

종이 원료는 어디서 가져 왔을까? 우리가 옛날에 종이를 갱지라고 했다. 그럼 외국(미국)에서 쓰고 버린 파지 가져다 우리나라에서 물에 풀어서 갱지로 만들어 냈다고 본다.

제지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