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25
돈(화폐) 10.
1983년 1월 15일 발행 다 십 원貨를 발행했다. 소재는 Cu(65), Zn(35)다. 도안은 다보탑과 액면이다. 한국조폐공사가 발행했다. 다 오원貨를 발행 했다. 소재는 Cu(65), Zn(35)다. 도안은 거북선에 액면이다. 한국조폐공사에서 제조했다고 한다. 5원짜리는 아리송하다. 다 일원貨 발행했다. Al(100)이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도안은 무궁화에 액면이다. 한국조폐공사에서 발행했다고 한다.
1983년 6월 11일에 한국은행에서 나 천원卷을 발행 했다. 도안은 이황 초상에 도산서원이다. 초상과 도산서원은 그대로 쓰고 배경을 바꾸었다. 한국조폐공사에서 발행했다.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 · 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이다. 유색용지는 무슨 소리인가. 시각장애인용점자표지 돈을 1983년에 발행했다고 아닌 것 같은데 말이다. 위 · 변조 방지를 어떻게 강화를 했는지 모르겠다.
1983년 6월 11일에 다 오천 원卷을 발행했다. 도안 소재는 이이 초상과 오죽헌이다. 한국조폐공사에서 발행했다. 기계감응요소를 채택, 위 · 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했다고 한다. 뭔가 이상하다.
1983년 10월 8일에 한국은행 다 만원卷 발행을 했다고 한다. 도안 소재는 세종대왕 초상이고 경회루이다. 한국조폐공사가 제조했다.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 변조 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 이다. 이상하다. 발행연대를 앞당긴 것 같은 느낌이다. 1983년도에 점자를 넣었다고 한다. 한참 후인 것 같은데 말이다. 거 참 이상하다.
1994년 1월 20일에 위변조방지요소(부분노출은선 도입 등) 보강을 해서 라 만원卷을 발행했다고 한다. 도안 소재는 세종대왕 초상에 경회루다. 한국조폐공사 제조다. 부분노출 은선, 광간선 무늬, 미세문자, 요판잠상 보강을 했다고 한다.
2000년 6월 19일에 위변조방지요서 보강한 마 만원卷을 발행했다고 한다. 도안 소재는 세종대왕 초상과 경회루이다. 한국조폐공사 제조이다. 시변각 잉크, 숨은 그림 확대 및 돌출 은화 삽입, 부분노출선 개선, 광 간접무늬 제거, 저작권 표시 했다고 한다. 어디다 저작권을 표시를 했을까 해서 확대해보니 흐려서 보이지 않는다.
2002년 6월 12일에 위변조장비요소 보강 라 오천 원卷을 발행했다고 한다. 도안 소재는 이이 초상과 오죽헌이다. 한국조폐공사 제조이다. 부분노출선(홀로그램미세문자 삽입), 숨은 막대 삽입, 점자크기 확대, 요판잠상 보강, 저작권 표시라고 한다.
2006년 1월 2일 첨단 위조방지장치 적용 마 5,000원卷 발행했다. 도안소재는 이이초상과 신사임당(傳) 초충도이다. 한국조폐공사 제조이다. 홀로그램, 색변환 잉크, 요판 잠상, 숨은 은선, 앞 뒤판 맞춤, 미세문자, 숨은 그림, 돌출은화, 볼록 인쇄, 형광색사 등이다.
2006년 12월 18일 라 10원貨 발행했다. 크기를 줄이고 소재를 변경했다. 소재 구리 씌운 알루미늄(Cu 48, Al 52)이다. 알루미늄에 구리를 씌웠다고 한다. 도안은 다보탑에 액면이다. 한국조폐공사 제조이다.
2007년 1월 22일에 첨단 위조방지장치 적용한 바 10,000원 권을 발행했다. 도안소재는 세종대왕 초상과 혼천의다. 한국조폐공사 제조이다. 홀로그램, 색변환 잉크, 요판잠상, 숨은 은선, 앞 뒤판맞춤, 미세문자, 숨은 그림, 돌출은화, 숨은 막대, 볼록 인쇄, 형광색사 등이다. 그전에는 앞 뒤판을 안 맞추었었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