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0-37] 일본군 위안부는 어떻게 탄생하였나? 100-37 일본군 위안부는 어떻게 탄생하였나? 일본군 위안부 또는 일본군 성노예 제도는 일본의 전쟁범죄 중 하나로 일본 제국 정부의 관여 및 묵인 하에 자행된 식민지 및 점령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시강간 등의 성범죄 행위를 말한다.일본의 시베리아 개입 당시 일본군은 현지 러시아 여성들을 상대로 무차별적인 강간과 성폭행을 저질렀다고 한다.빨간 기와집은 일본어로 1991년에 출판했다고 하고, 한국어 번역은 2014년이다. 머리말에 1990년 5월 한국의 여성 단체가 당시 노태우 대통령의 방일 즈음해, ‘노태우 대통령 방일 및 여자 정신대 문제에 대한 여성계의 입장’이라는 제목으로 성명서를 발표했다.1990년 1월에 윤정옥 이화여대 교수가 ‘정신대 취재기’를 일간지에 연재했다. 일본 시민단체들도 일본정부.. 더보기
[100-36] 동작동 국립현충원은 언제 만들어 졌을까? 2 100-36 동작동 국립현충원은 언제 만들어 졌을까? 2 동작동 현충원 항공사진이 1965년도 사진과 1973년도 사진이 있다.사진이 두 개다 확대가 안 된다. 무덤인지 밭인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확대를 해 보았으나 뿌옇게 될 뿐 무덤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1965년도 사진은 앞에서 이야기를 했는데 오늘 73년도 사진을 쓰려고 다시 보니 새로운 것들이 보인다.65년도 동작동 현충원 사진은 우선 앞부분이 현충원 정문에 도로가 있고 도로 앞에 바로 강이다. 절벽이다.정문에서 들어가면 원이 있다, 그 원은 분수대로 보인다. 가운데 길이 있고 양옆으로 45도 각도로 길이 있다. 길을 따라 가면 타원형의 잔디밭이 있고 타원형 밖으로 길이 나 있다. 그 뒤에 작은 건물을 입구로 삼각형 나무 울타리가 보이고 건.. 더보기
[100-35] 공심채 공심채   유튜브 숏츠를 보는데 열무김치를 맛있게 담근다. 얼마 전 배추 세통으로 김치를 담갔지만 열무도 먹고 싶었다. 링크를 타고 들어가니 8,900원이다. 가격도 부담스럽지 않고 해서 결재를 눌렀다. 결재 가격이 900원이다. 결재를 하고 나니, 김치 많은데 또 사 미친 짓이지, 하면서도 열무 시원하게 만들어 열무국수 해먹고 싶은 맘이 더 커서 좋다가도 언제 다 먹지 젊어서야 한 가지 오래 먹어도 질리지 않았는데, 이제 한 가지 오래 먹으면 질린다.  갈등하면서도 900원이라 취소 안하고 버티었다. 열무 담글 때 필요한 대파와 양파를 미리 준비해 놓고 열무가 오기를 기다렸다. 언제 오나 하고 배송 확인을 하는데 열무가 아니다.  공심채라고 써져있다. 엥.... 배달 완료 문자를 보고 언능 포장을 뜯어.. 더보기
100-34 동작동 국립현충원은 언제 만들어 졌을까? 동작동 국립현충원은 언제 만들어 졌을까?   국립 현충원은 대한민국의 국립묘지 겸 호국 보훈시설로 흔히 ‘현충원’이라고 부른다.  현충원은 군 복무 중 불의의 사고나 국지전투로 순식/전사하면 화장하여 매장하는 곳이었다가 공무원들 묘역이 되었다. 선출직 공무원 포함 행정, 경찰, 소방 등이다.  『국립묘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2005년 7월 29일에 제정하여 2006년 1월 30일부터 시행되었다.동작동 국립현충원은 1950년 6.25 전쟁 발발로 인해 늘어나는 국군 전사자를 안치하기 위해 육군 국립묘지로 1952년 5월부터 계획되어 53년 동작동에 부지 선정하여 1954년에 착공하여 1956년에 개장하여, 안장이 시작되었다. 개장 당시의 명칭은 ‘국군묘지’였다. 1965년 국립시설로 승격되어 ‘.. 더보기
100-33 이승만 동작동 국립현충원 묘지? 이승만 동작동 국립현충원 묘지? 이승만은 1875년에 태어나1965년에 하와이에서 돌아가셨다.65년에 하와이에서 시신을 우리나라까지 운반을 해서 동작동 국립현충원에 안장을 했다고 한다.현충원 이승만 무덤 사진을 단계별로 살펴보자1965년 이승만 전 대통령 묘지(출처 : 서울기록원)을 보면 묘지는 제법 높은 능선에 무덤을 썼다. 무덤 형태는 국그릇 엎어 놓은 것 같이 분봉 위가 납작하다. 앞은 한강이 훤히 보인다. 꽤 넓어 보인다. 정면 사진은 한 여성이 서서 절하려는 모습을 찍었다. 무덤 뒤편은 산 능선이 보이고 산에 글자와 조형물도 있고 높은 깃대에 태극기가 휘날린다.   두 번째 윤치영 서울시장의 이승만 전 대통령 묘지 참배, 1965년 8월 19일자 사진은 무덤이 상당히 크고 참배를 무덤 가까이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