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90] 서울의 전차? 15. 100-90 서울의 전차? 15.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시공간 감각의 재편 : 홍릉(洪陵) Hongneung Royal Tomb. 일제강점기 이미지를 보자. 스템프로 찍었는데 경성청량리왕비의묘라고 일본어로 보이는 글자와 영어로 A TOMB OF H. I. H. PRINCESS, SEOUL, KOREA. 찍혀있다. 뒤에 산이 보이고 중간 능선쯤에 삭평을 하고 묘를 만들어 놨다. 석상과 담장이 보인다. 계단인지가 보이고 아래에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다. 왼쪽이 큰 건물이 기와집으로 있다. 오른쪽이 조금 작은 기와집이 있다. 기와만 화려하다. 기와가 무거워 보인다. 기와에 눌려 무너질 것처럼 보인다. 청량리 홍릉에서 앨리스 루스밸트와 그 일행 1905년 | 코넬대학.. 더보기 [100-89] 서울의 전차? 14. 100-89 서울의 전차? 14.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시공간 감각의 재편 : 『한국에서』 에밀 부르다레, 1904년을 보자. 한국에서 그래서 대한제국이 탄생을 했을까? 전차 개통 이후, 홍릉이나 한강 인근은 사람들이 자주 찾는 유상지가 되었다고 한다. 홍릉은 80년대 중후반 서울 살면서 들어 본 적이 없다. 서오릉은 들어도 보고 가보기도 했다. 80년대뿐 아니라 필자는 요 근래 역사 연구하면서 홍릉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에밀 부르다레가 전차로 홍릉을 간 이야기라고 한다. 여름에는 사람들이 절이나 한강 등지로 전차를 타고 간 이야기를 적고 있다. 1904년에 발행된 책이 거의 새 책이다. 세월의 흔적이 거의 없다. “전차를 타고 떠난 산책 : 첫날부터 명성황.. 더보기 [100-88] 서울의 전차? 13. 100-88 서울의 전차? 13.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시공간 감각의 재편 : 『조선에 살다』 제이콥 로버트 무스, 1911년이라는 책이 있다. 전차가 도성 문을 드나들면서 밤마다 굳건히 닫혔던 도성문이 계속 열릴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전차가 연 대문 “최근 몇 년까지 도성의 대문들은 밤이 되면 모두 닫히고 잠겼으나 요즘에는 서양 전차가 이 대문 중 세 대문들을 통해 드나든다. 지난 5세기 이상 밤마다 닫혔던 이 육중한 문들이 전차선 때문에 닫히지 못하게 된 것이다.”라고 한다. 5세기 동안 도성안 사람들은 무엇으로 밥을 해먹고 난방을 했는지 궁금하다. 성안으로 나무를 해서 이고 지고 나르는 사람들이 즐비했다면 그 광경을 서양인들이 기록 안했을 리 없을 것이라.. 더보기 [100-87] 서울의 전차? 12. 100-87 서울의 전차? 12.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근대화에 대한 적응 : 전차 이미지를 보자 1900년대 초에 들어온 개방형 일반용 전차라고 한다. 전차의 지붕과 전차 승차표에 ‘오루도’, ‘히이로’ 담배 광고가 개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근대 상품들이 이미 일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라고 한다. 전차 지붕에 담배광고 간판을 붙였다는 것인가. 개방형 전차 지붕이다. 황실전용 전차부터 전차 종류가 몇 개나 되는 것인가? 전차종류가 4개이다. 전기도 없었고, 선로도 별로 없었던 것 같은데 전차 종류가 다양하게 달렸다고 한다. 전차 승차표와 지갑 이미지가 있다. 1904년 한성전기회사에서 한미전회사로 바뀐 이후에 사용했던 전차표와 이를 넣고 다녔던 지갑이다. 5.. 더보기 [100-86] 서울의 전차? 11. 100-86 서울의 전차? 11. PART 1 : 전차의 도입 | 문명의 충격과 의식의 변화 : 근대화에 대한 적응 : 보스트위크를 인터뷰한 신문기사 News Article on Interviewing Bostwick about the Tram in Hanseong 한성의 전차에 대해 보스트위크와 인터뷰한 신문기사라고 한다. 스크랩되어 있어 정확한 발간일은 알 수 없다고 한다. 이 중 여성의 전차 탑승이 여성 권리를 향한 첫 걸음이라 말한 부분이 눈에 띈다. 아시아 재단이 지금 여성권위 보호 등등 일을 한다고 했다. 요즘 내용을 쓰고 연대만 1900년대 초로 잡은 것인가? “우리는 여성들이 우리 차를 탈 수 있다고 광고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에서 여성의 권리를 향한 첫걸음이다. 이전에는 여성들이 낮에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52 다음